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 《제8요일》과 《아이 엠 샘》 – 감정은 누구에게나 존재의 언어다

by aurora33님의 블로그 2025. 4. 18.
반응형

초록 풀밭에서 두 주인공이 하늘을 보며 누워있는 장면
이미지 출처:영화[제 8요일] / 네이버 영화

 

영화《제8요일》과 《아이 엠 샘》, 왜 우리는 이토록 순수한 감정 앞에서 눈시울이 뜨거워질까요? 이 두 영화는 ‘정상’이라는 틀을 벗고, 감정을 나눌 수 있는 진짜 관계가 무엇인지를 묻습니다.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뿐, 그 감정은 누구보다 진심이고 깊습니다.

영화《제8요일》과 《아이 엠 샘》 – 다른 세상에서 온 감정

《제8요일》의 조지는 다운증후군을 가진 인물로, 세상과 어긋나 있지만 누구보다 진심으로 사람을 대합니다. 무기력했던 앙투안은 조지를 통해 감정의 온도를 다시 배우게 됩니다.《아이 엠 샘》의 샘 역시 지적장애를 가진 아빠입니다. 그는 사회의 기준으로는 ‘부적격’하지만, 딸을 향한 감정만큼은 누구보다 따뜻하고 분명합니다. 법과 제도는 그를 ‘부족한 아빠’로 보지만, 감정은 그를 ‘완전한 사랑’의 사람으로 만듭니다. “감정은 기준이 아니라, 존재의 방식이다.” 두 영화는 모두 사회가 배제한 존재들이 오히려 가장 깊은 감정을 간직하고 있다는 역설을 보여줍니다. 조지와 샘은 세상을 이해하려 하기보다, 자신의 방식대로 감정을 전달할 줄 아는 사람들입니다.

감정을 표현하는 언어는 모두 다르다

조지는 노래와 표정, 포옹으로 감정을 전달합니다. 그가 말하지 않아도, 우리는 그의 눈빛에서 사랑을 읽습니다.《제8요일》은 비언어적 감정 전달이 얼마나 강력한지를 보여줍니다. 샘은 말이 많고 어눌하지만, 끊임없이 감정을 표현하려고 애씁니다. 그의 편지, 대화, 행동 하나하나는 딸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 차 있죠.《아이 엠 샘》은 감정을 표현하는 ‘권리’ 자체를 사회가 얼마나 쉽게 박탈하는지를 비추어 줍니다. “감정을 얼마나  말하느냐보다, 얼마나 진심으로 표현하느냐가 중요하다.”결국 감정은 언어보다 앞선 것이며, 방식은 다르되 본질은 같다는 진실을 두 영화는 나지막이 전합니다.

주인공 소녀가 '아빠가 못하는 것 저도 하기 싫어요' 라고 아빠에게 말하는 장면
이미지 출처:영화[아이 엠 샘] / 네이버 영화

감독 제작 의도

《제8요일》 – 자코 반 도마엘 감독

“조지와 앙투안은 정반대의 세계에 있지만, 감정으로 서로를 구원하는 존재입니다.” 감독은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경계를 허무는 감정적 진실을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합니다. 그는 "조지는 감정의 언어를, 앙투안은 이성의 언어를 쓰지만 결국 마음으로 통하는 법을 배운다"라고 설명합니다.

《아이 엠 샘》 – 제시 넬슨 감독

“우리는 누군가를 사랑할 자격이 있는지를 따질 수 있는가?” 제시 넬슨 감독은 지적장애와 부모됨, 사회가 정한 ‘기준’이 감정을 얼마나 왜곡하는지를 비판합니다. 샘의 순수한 사랑은 ‘정상 가족’보다 훨씬 더 진심 어린 감정임을 드러냅니다.

명대사

《제8요일》

“넌 그냥 웃기만 해. 그게 사람들을 가장 행복하게 하거든.” – 조지를 향한 앙투안의 말. 감정이 가진 무언의 위로를 상징합니다.

“난 항상 내 방식대로 행복했어.” – 조지 – 정상성의 기준이 아닌, 자신만의 감정 방식을 지닌 사람의 선언.

《아이 엠 샘》

“나는 루시가 필요해요. 루시도 나를 필요로 해요.” – 샘의 법정 대사. 감정은 누가 누구를 돌보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함께 존재하는 이유라는 뜻. “사랑은 숫자나 지능으로 계산할 수 없어요.” – 영화 전체의 메시지를 요약하는 대사이자, 감정의 깊이를 말하는 선언.

 OST 추천

《제8요일》

 “Fragile – Sting”

영화 후반 조지와 앙투안이 함께 춤을 추는 장면에서 흐르는 곡.

삶의 고단함 속에서도 감정을 품은 존재들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표현합니다.

“Le Huitième Jour” Theme – Pierre Van Dormael

잔잔한 피아노 선율과 스트링이 어우러진 메인 테마. 말없이 감정을 전하는 영화의 톤과 완벽하게 일치합니다.

《아이 엠 샘》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 The Beatles” (커버곡)

샘과 딸 루시의 감정을 이어주는 음악.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감정의 따뜻한 연결고리 역할.

 “Two of Us – Aimee Mann & Michael Penn”

영화의 엔딩 테마. 둘이 함께여서 가능한 감정의 완성을 상징하는 곡입니다.

감정 기반 비교 – ‘다름’을 넘어 감정으로 닿는 두 사람

항목《제8요일》《아이 엠 샘》

감정 표현 방식 몸짓, 음악, 미소 말, 행동, 글
관계 대상 타인과의 우정 부모-자식 관계
갈등 구조 무기력한 사회인과 감정적 순수성의 충돌 제도 vs 감정적 부모됨
감정 키워드 순수, 해방, 연결 사랑, 보호, 존엄

 

감정은 어떤 방식으로든 표현될 수 있다. 사회적 기준이 감정을 무시하는 순간, 우리는 누군가를 잃게 된다. 감정을 나누는 순간, 우리는 더 이상 외롭지 않다. 사랑은 말로 설명하지 않아도, 감정은 반드시 전달된다.

 

감정을 다룬 또 다른 영화 이야기

[영화] -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와 《룸》 -부모라는 감정을 마주하는 자세

[영화] -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와 《헤드윅》 – 경계를 넘어 감정을 노래하다

반응형